포브스는 2025년 세계 10대 강국을 선정 발표하였다.
1위는 예년과 같이 미국이 차지하였으며 뒤를 이어 중국이 2위에 선정되었다.
한국은 경제적 영향력과 높은 문화수준, 강력한 군사력을 바탕으로 세계 5위에 선정되었다.
그러나 예상외로 세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나라 인도는 12위에 선정되어 관심을 받았다.
포브스 (Forbes) 는 미국의 대표적인 경제·비즈니스 전문 매체로, 세계 경제와 산업 트렌드를 분석하는 권위 있는 기관이다. 매년 세계 여러 나라중에서 기업, 금융, 기술, 정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영향력 있는 랭킹을 발표하고 있으며 가장 강력한 국가 순위는 경제력, 군사력, 외교력, 기술력 등 국가의 종합적 영향력을 평가해 발표하는 지표이다.
이 순위는 국제 사회에서 각국의 ‘위상’을 측정하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 선정기준
포브스의 이번 2025년 10대 강국 선정은 전세계 195 나라들을 아래의 5가지 분야에서의 영향력을 분석 평가하여 선정하였다. 이 선정방법은 Brand Asset Valuator (BAV) 그룹에서 개발되었으며, 미국의 와튼스쿨의 교수와 US News and World Report 사가 주도적으로 참여하였다.
● 국가 지도자
● 경제적 영향력
● 정치적 영향력
● 강력한 국제동맹 관계
● 강한 군사력
■ 주요 하이라이트
● 미국은 기술, 금융, 연예 등 여러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량을 가지고 있다
● 중국은 기술적 진보 특히 인공지능 (AI) 와 5G 통신기술에서 능력을 인정 받았다.
● 러시아는 광대한 자연자원, 강력한 군사력, 강한 지역내 정치력이 인정 받았다.
● 영국은 새로운 무역협정과 경제적 파트너십으로 수많은 새로운 스타트업을 육성한점이 인정
● 독일은 재생에너지 분야를 선도하였다.
● 인도는 경제적 여건향상과 강력한 국제동맹과 군사력을 인정 받았다.
● 한국은 경제력, 문화적 융성함과 강력한 군사력을 바탕으로 세계 6위를 인정 받았다.
1위 : 미국
GDP 약 30조 3,400억 달러와 인구 약 3억 4,500만 명을 바탕으로 여전히 세계 1위 강대국으로 평가받는다.
1990년대부터 중국이 미국을 따라잡을 것이라는 예측이 있었으나, AI 산업혁명이 미국 내에서 급격히 발전하면서 미국 경제가 다시금 폭발적인 성장을 이루었다.
이민 엘리트 계층이 AI 산업혁명의 중추를 담당했으며, 예를 들어 일론 머스크(테슬라), 젠슨 황(엔비디아), 리사 수(AMD) 등은 모두 미국으로 이민해 혁신을 이끌었다.
전문가들은 미국의 다문화 포용력이 그 국가적 특성으로 작용하여 지식 기술 분야에서 경쟁력을 강화한다고 분석한다.
2위 : 중국
2025년에도 세계 2위의 강대국 자리를 유지하며, GDP는 약 19조 5,300억 달러에 달하고 인구는 약 14억 1,900만 명이다.
미국과의 패권 경쟁이 지속되고 있지만, 중국은 신흥 경제 진영과 협력하여 미국 달러 중심의 국제 경제 체제에 도전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중국의 조선업 생산 능력이 상당히 커져 미국 서방 국가보다 함선 건조량이 앞서고 있으며, 이는 군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AI 및 4차 산업혁명 분야에서도 대규모 투자를 진행하며 글로벌 경쟁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중국이 소련과 달리 세계 경제와 밀접히 연결되어 있어 고립이 곧 붕괴로 이어지기 어려울 것이라고 강조한다.
3위 : 러시아
상대적으로 낮아진 경제력에도 불구하고 세계 패권에 큰 영향을 미치는 국가로 분류된다.
러시아의 위상은 광대한 영토, 핵무기 보유, 그리고 활발한 군사 동맹에 의해 뒷받침된다.
북한과의 군사 동맹 강화로 인해 북·러 간 밀월 관계가 더욱 견고해질 것으로 보이며, 높은 전사자 보상금은 러시아의 자금력과 의지를 나타낸다.
러시아가 세계 경제와 긴밀히 연결되어 있지 않다는 점은 서방의 제재와 견제를 용이하게 만든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막대한 천연 자원과 광활한 영토는 러시아의 잠재적 성장 가능성을 높이며, 다른 강대국 정치인들의 중재 시도에서도 러시아의 존재감은 무시할 수 없다.
4위 : 영국
GDP 약 3조 7,300억 달러, 인구 약 6,900만 명으로 4위를 차지하고 있다.
영연방을 통솔하는 영국은 인구가 7천만 명도 되지 않지만 여전히 세계적 영향력을 발휘한다.
영국의 식민 통치는 남미, 태평양, 지중해, 인도양 등 광범위하게 퍼져 있으며, 그 유산이 현재의 국제적 네트워크를 지탱하고 있다.
왕정 체제를 유지하면서도 민주주의와 자유주의적 가치가 강하게 작용하는 이중적 특성을 가진다.
영국은 AI와 반도체 분야에서도 경쟁력을 발휘하며, ARM 같은 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인정받고 있다.
5위 : 독일
GDP 약 4조 9,200억 달러, 인구 약 8,300만 명으로 유럽 최대 강국이다.
통일 이후 어려움을 겪었으나 유로존 경제를 주도하며 강대국으로 자리잡았다.
이번 2025년 랭킹에서 독일은 원래 영국보다 앞서 있었지만 5위에 위치했다.
독일의 경제 문화적 리더십은 이웃 고소득 국가들과의 관계 때문에 여전히 강력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6위 : 한국
한국의 GDP는 약 1조 9,500억 달러이며, 인구는 약 5,170만 명으로,
자동차, 반도체, IT 산업분야 등 경제적, 기술적 역량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최근 한국은 군사력과 방위산업 분야에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고 있으며,
K-pop, K-드라마 등 소프트파워 분야에서도 세계에서 큰 영향력을 보이고 있다.
7위 : 프랑스
GDP는 약 3조 2,800억 달러, 인구는 약 6,500만 명이다.
문화와 기술 강국으로서, 프랑스는 세계 여러 지역에 지속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프랑스는 외교적 영향력을 아프리카와 남미, 유럽의 프랑스어권 국가들을 통해 발휘하고 있다.
방위 산업에서 프랑스는 유럽 간 협력을 강조하며 라팔전투기, 잠수함, 핵무력등 강력한 국방력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분야에서 프랑스는 예술, 패션, 철학, 미식 등에서 강력한 문화적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8위 : 일본
GDP 약 4조 3,900억 달러, 인구 약 1억 2천만 명으로 8위에 위치하고 있다.
한때 세계 2위의 경제 대국이었으나, 현재 GDP 수준이 정체되거나 상대적으로 축소되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일본은 중국의 부상과 주변 제조업 국가와의 경쟁 심화로 인해 경제력에서 예전만큼 압도적이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은 동남아시아와 남아시아 등 과거 대동화 공영권 지역을 중심으로 외교 경제적 힘을 발휘하고 있다.
일본은 정식 군대가 아닌 자위대지만, 글로벌 군사력 파워 순위에서 세계 7위를 차지하고 있다.
9위 : 사우디 아라비아
GDP 약 1조 1,400억 달러로 세계 9위 강대국에 오르며, 이는 석유를 기반으로 한 경제력을 나타낸다.
사우디 아라비아는 오랜 기간 미국과 함께 국제금융 시장에 영향을 미쳤으며, 미래형 도시 건설로 첨단 인프라를 자랑하고 있다.
이슬람교의 최대 성지인 메카가 위치하여 25% 이상의 세계 무슬림 인구에게 중요한 종교적, 문화적 영향력을 미친다.
여성 인권 확대와 관광산업 육성을 포함한 개방 정책을 통해 앞으로의 위상 변화가 기대된다.
10위 : 이스라엘
GDP 약 5,090억 달러로 10위에 올랐으며, 강력한 군사력과 정보력을 가지고 있다.
또한, 다양한 분야에서 첨단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스타트업 중심의 혁신역량을 인정 받고 있다.
12위 : 인도
인도 언론은 세계 최대 인구 대국인 자신들이 12위에 머물렀다는 사실에 의아해하고 있다.
인디안 익스프레스는 한국이 기술 발전의 선구자로 평가받았다는 점을 언급하며, 인도의 순위가 지닌 의문점을 제기하였다.
인도가 12위를 기록한 이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부족한 상황이며, 군사력, 동맹관계, 사회적 문제 등이 상대적 순위를 낮춘 요인으로 추정된다.
인도는 세계 최대 인구 국가이지만, 민족주의와 국제 동맹의 복잡성이 인도의 국제적 파워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Forbes reveals list of top 10 most powerful nations in 2025 – See where India stands - Trending News | The Financial Express
www.financialexpress.com
▣ 함께보면 좋은 글
'정보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를 이용한 업무 자동화 (1) (1) | 2025.06.18 |
---|---|
주택 임대차 계약 신고하세요 (6) | 2025.06.12 |
서울 보증금 지원형 장기안심주택 (8) | 2025.06.08 |
인공지능 (AI) 4차 산업혁명 : 산업의 파라다임이 바뀐다 (4) | 2025.06.07 |
2024년 세계 무기수출 동향과 순위 (0) | 2025.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