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인과 혼인례의 의미
한국의 전통적인 혼례와 혼례의식은 삼국시대부터 전해져 내려왔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당시에는 집안과 집안의 결합, 즉 가문 간의 중요한 약속으로 여겨졌습니다.
조선시대에 들어서면서는 유교적인 가치관이 자리 잡으며 전통 혼례 의식이 체계화되었습니다.
혼인은 단순히 두 사람만의 만남이 아니라, 양가가 서로 인연을 맺고 새로운 공동체를 만드는 의식이었습니다.
그래서 전통적으로 결혼식은 ‘부부의 연맹’이자, 두 집안과 사회 전체가 함께 축하하는 큰 행사로 자리매김했습니다.
혼인은 두 사람의 결합이라는 측면과 아울러 두 가족의 사회적인 결합을 의미합니다.
두 가족의 사회적 가족적인 결합은 가족의 의사가 강하게 반영되고, 혼인한 뒤에도 공동가계의 한 부분을 형성합니다. 이러한 사회에서는 의례 그 자체가 중요시되며, 격식에 따라야만 혼인이 인정됩니다. 특히 사대부가의 혼인례는 조선의 양반 가문에서 조상과 부모에 예를 다하는 엄숙한 의식으로서 두 가족의 결합을 중요시했던 선조들의 생각을 엿볼 수 있습니다.
혼인례는 협의의 의미에서 혼례식인 대례만을 의미하기도 하고, 광의의 의미에서 양가가 혼담을 주고받기 시작하면서 혼인과 관련된 모든 행위를 의미하여 의혼(議婚), 대례(大禮), 후례(後禮)를 포함합니다.
이글에서는 한국의 전통혼례의 의미와 절차등에 대하여 설명합니다.
한국의 전통혼례의 절차
한국의 전통혼례 절차는 크게 3단계에 걸처 진행됩니다.
● 의혼 : 양가가 혼인을 약정하는 절차
● 대례 : 신랑이 신부집에서 혼례식을 치루는 의례
● 후례 : 신부가 시집으로 들어가 치루는 예식
1. 의혼 (議婚)의 의미와 절차
의혼은 혼인례 의식이 있기 전에 양가 사이에서 대례를 준비하기 위해 치러지는 의례절차를 말합니다.
● 혼담 : 청혼과 허혼의 단계로서 남자 측 집안에서 청혼서를 보내고 이것에 대한 답변으로 여자 측 집안에서 허혼서(許婚書)를 보내온다.
● 납채 : 정혼 즉 약혼의 단계로 남자 측에서 며느리로 채택한다는 뜻을 여자 측에 보낸다. 남자의 생년월일시를 적은 사주(四柱)단자를 보낸다.
● 납기 : 혼인 날짜를 정하는 단계로 여자 측에서 택일하여 남자 측에 납기서를 보낸다.
● 납폐 : 납폐는 남자 측에서 여자 측에 예물을 보내는 단계로 함에 예물인 채단 즉 옷감을 넣어 보낸다.
2. 대례(大禮)의 의미와 절차
대례는 친영례라고도 하는데 신랑이 신부집에 가서 혼례의식을 치릅니다.
● 현사당례 : 혼인날 아침 양가에서는 조상을 모신 사당에 혼인에 대해 고유(告由)한다.
● 초자례, 초녀례 : 현사당례가 끝나면 신랑, 신부는 각각 부모에게 혼인례를 맞아 인사를 올린다.
● 전안례 : 신랑이 신부의 집에 가서 신부의 혼주에게 기러기를 드리는 예식이다.
● 교배례 : 신랑과 신부가 맞절하는 의식
● 서천지례 : 천지신명에게 부부로 열심히 살겠다는 것을 서약하는 의식
● 서배우례 : 신랑과 신부가 서로 좋은 배우자가 될 것을 서약하는 의식
● 합근례 : 신랑과 신부가 서로 술잔을 나누어 마시는 의식으로 술을 교환하여 하나가 된다는 뜻을 담고 있다.
● 합방례 : 신랑과 신부가 부부로서 첫날밤을 치르는 의식
3. 후례(後禮)의 의미와 절차
인례의 중심인 대례가 끝나면 신부가 시집으로 들어가 치루는 의식절차가 있는데, 이를 후례라고 부른다.
● 우귀 : 신부가 시집으로 오는 것을 우귀라고 한다. 신부가 가마를 타고 갈 때는 가마 위에 호피를 얹는다.
● 현구고례 : 신부가 시부모와 시댁식구에게 인사를 올리고 폐백을 올리는 의식
● 현사당례 : 대개 우귀(于歸)한지 3일이 되는 날 시댁의 사당에 부부로서 고유하는 의식
운현궁의 전통혼례
운현궁에서 전통 혼례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운현궁에서는 전통혼례를 아래와 같은 순서로 진행합니다.
● 입장 : 신부는 화관을 쓰고 먼저 입장하고, 신랑은 사모관대를 갖춰 입고 입장합니다.
● 맞절 : 신랑 신부가 서로를 향해 마주 서서 절을 합니다. 신부가 먼저 두 번, 신랑이 한 번 절을 합니다.
● 혼인서약 : 두 사람은 백년해로를 약속하며 혼인서약을 합니다.
● 교배 : 신랑 신부가 서로에게 술을 권하며, 이를 통해 부부가 됨을 확인하고 백년해로를 다짐합니다.
운현궁 전통혼례 이용 및 신청방법
예약 및 이용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우측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www.unhyeongung.or.kr/sub/traditional_wedding/place_application.php)
● 기간 : 2025년 4월 5일 ~ 6월 15일, 9월 6일 ~ 11월 9일
● 시간 : 토요일 & 일요일 11:00 / 13:00 / 15:00 (공휴일 및 휴관일 불가)
● 소요시간 : 1회 30분
● 장소 : 운현궁 노락당
● 금액 : 1,320,000원 (부가세 포함, 계약금 20만원)
상담 문의
화 ~ 일요일 상담 가능. 월요일 휴관
대표전화 : 02-766-9090
E-mail : unhyeongung_official@naver.com
'라이프 스타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AI 단편 영화 공모전 완벽 가이드 (0) | 2025.10.20 |
---|---|
2025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 궁궐과 왕릉 무료개방 (0) | 2025.10.18 |
서울 10만원대 초저렴 임대주택 10 (0) | 2025.10.13 |
가을 등산코스 추천 BEST 10 (0) | 2025.10.12 |
단풍여행지 추천 BEST 10 (1) | 2025.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