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 에 사용되는 HBM과 HBF 메모리의 차이
🚀 HBM vs. HBF: AI 시대 메모리 전쟁의 새로운 구도 (고대역폭 메모리와 플래시의 만남)
인공지능(AI)과 고성능 컴퓨팅(HPC)의 발전은 끊임없이 더 빠르고, 더 큰 메모리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요구에 응답하여 등장한 것이 **HBM(High Bandwidth Memory)**이며, 최근에는 **HBF(High Bandwidth Flash)**라는 새로운 대안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두 메모리 기술은 고대역폭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만, 근본적인 설계와 목적에서 큰 차이를 보이며, 미래 메모리 계층 구조에서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글에서는 HBM과 HBF 메모리의 기능과 파이점등에 대하여 설명합니다.
1. HBM (High Bandwidth Memory): 속도의 제왕
💨HBM은 현재 AI 가속기 시장의 핵심 메모리입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고대역폭'**에 초점을 맞춘 기술입니다.
● 기반 기술: HBM은 **DRAM(Dynamic Random-Access Memory)**을 기반으로 합니다. DRAM은 데이터에 매우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휘발성 메모리입니다.-
● 구조적 특징: 여러 개의 DRAM 칩을 수직으로 쌓아 올리고 (TSV, Through-Silicon Via 기술 사용), 프로세서와 매우 짧은 경로로 연결합니다. 이는 기존 메모리 대비 데이터 통로(버스)를 훨씬 넓게 만들어 한 번에 대량의 데이터를 병렬로 전송할 수 있게 합니다. (마치 좁은 1차선 국도 대신 넓은 다차선 고속도로를 뚫는 것과 같습니다.)
● 핵심 가치: **최고의 속도와 낮은 지연 시간(Low Latency)**을 제공하여, AI 학습(Training)이나 실시간 추론(Inference)처럼 데이터 접근 속도가 critical한 작업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 단점: DRAM 기반이기에 용량 증대에 한계가 있으며, 상대적으로 비용이 높습니다. 또한, 고속 동작으로 인해 발열 관리도 중요합니다.
2. HBF (High Bandwidth Flash): 용량과 효율의 해결사
✨HBF는 HBM의 용량 한계와 높은 비용을 보완하기 위해 등장한 개념입니다.
● 기반 기술: HBF는 NAND 플래시 메모리를 기반으로 합니다. NAND 플래시는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를 보존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입니다.
● 구조적 특징: HBM과 유사하게 NAND 플래시 칩을 수직으로 높게 쌓아 올리고 TSV 등 고대역폭 패키징 기술을 적용하여 프로세서와 연결합니다. (BiCS 3D NAND 플래시와 CBA(CMOS directly bonded to Array) 방식 등을 활용)
● 핵심 가치: 플래시 메모리 기반이기에 HBM 대비 **월등히 높은 용량(8배 ~ 16배 이상)**을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데이터 처리량을 높이면서도 전력 효율성이 매우 높습니다 (HBM 대비 낮은 전력 소모).
● 성능 특징: 대역폭은 HBM과 동등하거나 약간 낮은 수준이지만 (약 80~90% 수준), NAND 플래시의 특성상 DRAM에 비해 데이터 접근 지연 시간이 다소 높습니다.
● 용도: 수조 개의 파라미터를 가진 거대 AI 모델 전체를 저장하거나, 분석해야 할 대용량 데이터셋을 프로세서 가까이에 두어야 하는 AI 추론 서비스, 또는 메모리 확장 분야에 이상적입니다.
3. HBM vs. HBF, 핵심 차이점 비교 (요약)
| 구 분 | HBM | HBF |
| 기반 | 메모리DRAM (휘발성) | NAND Flash (비휘발성) |
| 최대 강점 | 속도 (고대역폭 및 낮은 지연 시간) | 용량 (대용량) 및 비용 효율성 |
| 주요 특징 | 매우 낮은 지연 시간 | 높은 발열높은 용량, 낮은 전력 소모 |
| 전송 속도 | 매우 높음 (최고 수준) | HBM과 동등하거나 약간 낮음 (약 80~90%) |
| 용량 | 상대적으로 제한적 (패키지당 수십 GB) | 매우 높음 (HBM 대비 8~16배 이상, TB 단위 가능) |
| 주요 활용 분야 | AI 학습(Training), 실시간 추론, HPC 계산 | 거대 AI 모델 저장, 대용량 데이터셋 처리, AI 추론 |
4. 미래 메모리 계층 구조에서의 역할
HBM과 HBF는 서로를 대체하는 관계가 아닌,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미래의 데이터센터 아키텍처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HBM의 역할 (Hot Data): 초고속 액세스가 필요한 '활성 데이터' 또는 '워킹 메모리' 영역을 담당합니다. CPU/GPU 캐시 바로 다음 계층에서 가장 빠른 연산을 지원합니다.
● HBF의 역할 (Warm Data): '중간층 메모리(Mid-Tier Memory)' 역할을 담당합니다. HBM에 담기에는 용량이 너무 크지만, 기존 스토리지에 두기에는 속도가 느린 **'거대 모델'**이나 **'전체 데이터셋'**을 프로세서 가까이에 두고 HBM의 용량 병목 현상을 완화합니다.
● 궁극적인 구조: 미래 AI 시스템은 **'CPU/GPU 캐시 -> HBM -> HBF -> CXL 연결 메모리 풀 -> 네트워크 스토리지'**와 같이 더 복잡하지만, 데이터 접근 속도와 비용 효율성을 극대화한 다계층 메모리 구조로 진화할 것입니다.
HBF의 등장은 메모리 업계의 성장을 이끌 새로운 동력이 될 것으로 보이며, AI 시대에 맞춰 DRAM과 NAND 플래시 진영 모두 고대역폭 기술을 통해 혁신을 지속할 것입니다.
'라이프 스타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최적의 AI 를 찾아주는 최고의 Ai 도구 Toolify.ai (1) | 2025.11.04 |
|---|---|
| 젠지 이스포츠, 롤드컵 우승을 향한 뜨거운 여정! (0) | 2025.11.04 |
| PC방 게임? 억! 소리 나는 'e스포츠'의 충격적 비밀! (feat. 역사, 규칙, 프로의 세계) (0) | 2025.11.04 |
| 앤비디아와 블랙록 등 세계적인 기업들이 한국을 AI 파트너로 선택한 이유 (0) | 2025.11.02 |
| 내 손안의 AI 혁명: 온디바이스 AI, 미래를 열다 (0) | 2025.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