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라이프 스타일

한국의 세계 유산

by NEOS10 2025. 7. 12.

 

유엔 교육과학 문화기구 (UNESCO,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유네스코(UNESCO) 1945년 창설된 유엔의 전문 기구입니다.
기구의 목적은 유엔 헌장에서 선언된 기본적 자유와 인권 그리고 법의 지배, 더욱 보편적인 정의의 구현을 위하여 국가 간의 교육, 과학, 그리고 문화 교류를 통한 국제 사회의 협력을 촉진함으로써 평화와 안전에 기여하는 데 있으며, 유네스코 본부는 프랑스 파리에 있습니다.
유네스코에서는 1972년 세계적으로 귀중하고 보호하여야 할 다양한 유무형의 유산들과 기록들을 국제협약에 의하여 정기적으로 발굴하고 등록하여 보존하기로  하였습니다.

 

유네스코 등재유산

1. 세계유산
세계유산은 1972년 유네스코(UNESCO, 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 세계 문화 및 자연유산의 보호에 관한 협약에 의거하여 세계유산목록에 등재된 유산을 지칭합니다. 
인류의 보편적이고 뛰어난 가치를 지닌 각국의 부동산 유산이 등재되는 세계유산의 종류에는 문화유산, 자연유산 그리고 문화와 자연의 가치를 함께 담고 있는 복합유산이 있습니다.
목적 : 자연재해나 전쟁 등으로 파괴의 위험에 처한 유산의 복구 및 보호 활동 등을 통하여 보편적 인류 유산의 파괴를 근본적으로 방지하고, 문화유산 및 자연유산의 보호를 위한 국제적 협력 및 나라별 유산 보호 활동을 고무하기 위함.

(1) 문화유산 (Cultural Heritage)
유적, 건축물, 문화재적 가치를 지닌 장소 등 (전체 세계유산의 77.5%)

(2) 자연유산 (Natural Heritage)
생물학적 군락, 지질학적 생성물, 멸종위기에 처한 동식물 서식지 등

(3) 복합유산 (Mixed Heritage)
문화유산과 자연유산의 특징을 동시에 충족하는 유산

 

2. 인류무형문화유산이란?

2003년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보호 협약에 의거하여 문화적 다양성과 창의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대표목록 또는 긴급목록에 각국의 무형유산을 등재하는 제도입니다. 
2005년까지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걸작이라는 명칭으로 유네스코 프로그램 사업이었으나 지금은 세계유산과 마찬가지로 정부간 협약으로 발전되었습니다.

 

3. 세계기록유산이란?

선조들이 과거에 있었던 일들을 문서 등으로 남긴 것이 바로 기록유산입니다.
유네스코가 고문서 등 전 세계의 귀중한 기록물을 보존하고 활용하기 위하여 1997년부터 2년마다 세계적 가치가 있는 기록유산을 선정하는 사업으로 유산의 종류로는 서적(책)이나 문서, 편지 등 여러 종류의 동산 유산이 포함됩니다.

 

4. 한국의 세계문화유산 (17)

석굴암ㆍ불국사 (1995) 해인사 장경판전 (1995) 종묘 (1995) 창덕궁 (1997)
화성 (1997) 경주역사유적지구 (2000) 고창ㆍ강화 고인돌 (2000) 제주화산섬과 용암동굴 (2007)
조선왕릉 (2009) 하회와 양동 (2010) 남한산성 (2014) 백제역사유적지구 (2015)
한국의 산지승원 (2018) 한국의 서원 (2019) 한국의 갯벌 (2021) 가야고분군(2023)
     
반구천의 암각화 (2025)      

 

5. 한국의 세계자연유산 (2)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2007)
한국의 갯벌 (20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