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의 혈자리는 한의학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몸의 특정 부위에 위치하여 기혈의 순환을 조절하고 질병을 치료하는 역할을 합니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 표준화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 몸에는 361개의 혈자리가 존재하며, 이 혈자리를 침, 뜸, 지압 등으로 자극하면 몸의 회복을 돕는다고 합니다.
이글에서는 인체의 다양한 혈자리를 마사지나 지압법으로 자극하여 인체에 다양한 기능을 활성화 함으로서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
혈자리 지압법의 효과
혈액 순환 촉진: 혈자리를 자극하면 혈액 순환이 원활해지고 주변 조직의 기능이 향상됩니다.
신경 자극: 혈자리 자극은 중추신경으로 전달되어 몸의 회복을 돕습니다.
면역력 강화: 일부 혈자리는 면역력을 강화하는 효과도 있습니다.
내 몸에 흐르는 신비로운 길, 경락이란 무엇일까요?
우리 몸에는 신비로운 길이 흐르고 있는데, 이걸 경락이라고 불러요 .
한의학적 용어인 경락(經絡)을 한마디로 표현하기는 어렵지만, 우리 몸에 퍼져 있는 기(氣)와 혈(血), 진액(津液)의 통로이고, 몸의 각 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일종의 길 또는 도로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경혈은 경락 위에 점처럼 분포되어 있는데, 기가 출입하는 통로일 뿐 아니라 신체 내부에 있는 어떤 장기나 기능 체계의 이상이 체표에 나타나는 반응점이기도 합니다.
경혈을 자극하면 몸 곳곳에 정교하게 연결된 내장들과 연락을 할 수 있습니다.
인체에는 총 12가지의 경락이 우리 몸에 흐르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손에는 6개, 팔에는 6개, 이렇게 총 12가지 경락이 흐르고 있습니다.
엄지손가락, 두 번째, 세 번째, 네 번째 손가락에 각각 2개씩 경락이 있습니다.
다섯 번째 손가락에서도 2개의 경락이 흘러서 총 12개의 경락이 흐르고 있습니다.
이 경락들은 우리 몸 안으로 들어가서 내장 기관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
이런 이유로 경락을 잘 풀어주면 내 몸의 건강도 좋아지게 됩니다.
손끝만 잘 만져도 건강해진다 - 손가락 끝 혈자리 마사지
우리 몸의 12가지 경락 중에서 가장 힘이 센 곳은 손끝입니다 .
손끝만 잘 만져줘도 우리 몸의 12가지 경락에 해당하는 부분을 모두 자극할 수 있습니다.
손가락 끝에는 경락의 뿌리가 있기 때문에 손을 잡고 손끝 부분을 자극해 주면 경락 마사지 효과를 볼수 있습니다.
(1) 엄지손가락 끝을 반대쪽 엄지와 검지로 잡고 살살 돌려 만져보면 아픈 듯하지만 시원한 정도의 느낌이 좋습니다.
엄지손가락 안쪽의 경락은 수태음폐경으로 폐 쪽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손가락 끝을 잘 마사지하면 폐 기능뿐만 아니라 피부, 위장, 대장 기능과도 연관이 있습니다.
(2) 두 번째 손가락 끝 마사지는 특히 대장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장이 예민한 분들은 이 부분을 더 정성스럽게 마사지해 주면 좋습니다.
(3) 세 번째 손가락에는 수궐음심포경이라는 경락이 흐르는데, 심혈관계 기능을 보조하고 마음과 의지를 담당합니다.
심포경락은 정서나 몸의 균형, 자율신경을 조절해 줄 수 있습니다 .
(4) 네 번째 손가락의 수소양삼초경은 모든 순환계, 소화기계, 호르몬계를 아우르는 중요한 경락입니다.
몸의 시스템적인 부분을 바로잡아 줄 수 있습니다.
(5) 다섯 번째 손가락에는 두 개의 경락이 있는데, 안쪽은 수소음심경으로 신장과 관련되고 바깥쪽은 수태양소장경으로 소장과 관련있습니다. 신장은 심혈관계와 관련이 있고 마음과도 연결되어 스트레스나 불면증에 좋습니다.
소장은 면역과 관련이 있고 팔뚝 바깥쪽, 뒤쪽, 여성의 자궁, 남성의 전립선 뒤쪽의 대장과도 연관되어 있습니다.
소장 경락을 자극하면 몸이 따뜻해지고 척추와 연결되어 있어서 몸 뒤쪽 문제에도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손가락 T 스트레칭으로 혈액순환을 촉진
손가락을 작게 원을 그려주기만 해도 손끝이 찌릿하면서 말초 혈액순환이 잘 되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엄지손가락 끝을 잡고 쭉 늘여주는 스트레칭을 T 스트레칭이라고 합니다.
숨을 후 내쉬면서 5초에서 6초 이상 버텨주고, 이걸 3번에서 5번 정도 반복해 주시면 됩니다.
손가락 스트레칭은 손끝의 혈액순환을 더 원활하게 만들어 준답니다.
손과 팔의 주요 혈자리 마사지
대장경과 삼초경이 만나는 합곡이라는 부분이 있습니다.
이 부분은 우리 몸의 기운을 다스리는 데 중요합니니다.
합곡점은 엄지와 검지를 직선으로 손목안쪽으로 연장시 만나는 지점입니다.
기운이 없어서 소화가 안 되거나, 피곤하거나, 눈이 침침하거나,
기억력이 떨어질 때 합곡을 자극하면 기운이 살아납니다.
어깨를 살짝 까딱까딱 움직이면서 누르면 더 쉽게 자극할 수 있습니다.
손목 내관혈자리 마사지
손바닥 안쪽 끝에서 손가락 두마디 손목부분이 내관혈자리입니다.
손목의 내관혈자리를 살짝 누른 상태에서 손목을 안쪽으로 5바퀴, 반대쪽으로 5바퀴 돌려줍니다.
손목은 중요한 경락이 지나가는 부위라 평소에 잘 풀어주면 좋습니다.
손날에 있는 후계 혈자리 마사지
후계혈은 손날 쪽에 위치하고 주먹을 쥐었을 때 생기는 손바닥 주름의 끝 오목한 지점입니다.
이 부분이 척추에 영향을 많이 줍니다.
목이 불편하거나 일자목, 등이 뻐근하거나 허리가 안 좋을 때 자극해주면 좋답니다.
엄지손가락으로 이 부분을 자극하면 허리가 편안해지고 목이 부드럽게 돌아가기도 합니다.
후계자리를 꾹 누르고 손을 폈다 쥐었다 9번 정도 반복하면 자극이 더 깊어진답니다.
손바닥 쪽에 수많은 신경이 지나가는 신문 혈자리 마사지
이 부분은 심장을 좋게 하고 신뢰 관계 기능을 좋게 하며, 몸의 염증을 줄여주는 기능도 합니다.
손을 잡아서 폈다 오므렸다 몇 번 해주세요 .
특히 정신적인 스트레스나 감정 상태 때문에 생기는 소화 불량, 식은땀, 갑작스러운 열, 불면증 같은 증상이 있을 때 이 부분을 누르면 자율신경이 바로 잡힘니다. 신문 혈자리를 네 번째 손가락을 이용해 꼭꼭 눌러주면 자율신경으로 인한 문제들이 많이 좋아짐니다.
팔꿈치 곡지혈 마사지
곡지혈은 팔꿈치에 위치한 혈자리로 팔을 가슴쪽으로 향하도록 구부렸을 때 생기는 주름의 끝부분에 있습니다.
반대쪽 손 엄지로 팔 안쪽 부분을 깊이 눌렀다가 5초 정도 있다가 살짝 떼 주세요.
이렇게 위쪽으로 한 단계씩 올라가면서 쓸어 올립니다. 5~10초 정도 깊이 눌렀다가 떼는 것을 반복해 주세요. 곡지는 대장경락 중에서 힘이 좋은 경혈로 장 기능을 바로잡아 주는 혈자리입니다.
곡지를 누르면 허리 아픔이 완화되고 빨리 걷는 운동에도 도움이 된답니다.
손목, 팔꿈치, 어깨처럼 관절이 크게 만나는 부분의 긴장을 풀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부위를 조금 더 깊이 눌러서 5초 이상 눌렀다가 떼는 동작을 3번 정도 반복해 주세요.
어깨 뭉침도 시원하게 풀어주는 견정혈 마사지
어깨가 뻐근하고 결릴경우 견정혈 지압법이 효과가 좋습니다. 견정혈을 자극해 주면 목, 어깨 등의 통증을 완화하고 오십견에도 도움이 될뿐 아니라 각종
견정혈을 자극해 주면 각종 호흡기 질환이나 중풍 후유증, 고혈압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지고 있습니다.
견정혈자리는 고개를 숙였을 때 가장 튀어나온 목뼈에서 어깨끝까지 일직선상의 중간점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견정혈 을 깊이 누르고 팔을 살짝 들었다 놓거나, 뒤쪽 어깨 부분을 1분 정도 들었다 놓았다 하면서 자극을 주세요.
어깨 중앙을 중지로 딱 누르고 고개를 좌우로 왔다 갔다 해주면 어깨가 훨씬 더 풀어진답니다.
3~5번 정도 고개를 도리도리 해주면 어깨가 자극되면서 팔 전체가 후끈해질 것입니다.
경락의 흐름에 따라 두드려주면 효과가 두 배
경락의 흐름에 따라 두드려주면 효과가 배가됩니다.
음경락은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흐르고, 양적인 경락은 바깥에서 안쪽으로 흐르는 경향이 있습니다.
손을 주먹으로 만들어서 팔 안쪽은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두드려주고, 손등은 바깥에서 안쪽으로 두드려 주세요 .
손바닥의 인맥 그룹도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손끝에서부터 쓸어주면 됩니다 .
'건강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년기 건강관리 (6) - 노화 속도를 늦추는 법 1 (5) | 2025.06.07 |
---|---|
노년기 건강관리 (5) - 암 예방에 좋은 식습관 (4) | 2025.06.07 |
노년기 건강관리 (4) - 내 몸을 지키는 건강한 생활 습관 (5) | 2025.06.06 |
노년기 건강관리 (2) - 전립선 비대증 증상과 원인 (0) | 2025.06.03 |
노년기 건강관리 (1) - 내몸을 지키는 핵심 3가지 (0) | 2025.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