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혁신지수(Global Innovation Index)
WIPO 글로벌 혁신지수(GII, Global Innovation Index) : 세계지식재산기구(WIPO)가 유럽경영대학원(INSEAD), 美 코넬대 등과 협력해 전세계 WIPO 회원국을 대상으로 경제발전의 중요요소인 혁신역량을 측정하는 지표이다. 지난 2007년부터 각 국에 공공정책 또는 경영전략 수립 등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평가를 실시해 왔다. 올해는 7개 분야(제도, 인적자본 및 연구, 인프라, 시장 고도화, 기업 고도화, 지식·기술 산출, 창의적 산출)에서 78개 세부지표에 따라 총 139개국을 대상으로 평가를 진행했다.
대한민국 세계 4위, 아시아 1위
한국이 139개국 중 종합 4위, 아시아국가 중 1위를 기록했다. 20년 이후 6년 연속으로 10위권 내에 들며 한국의 높은 혁신 역량을 세계에서 인정받은 것으로 평가된다.
글로벌 혁신지수(GII)는 ①제도, ②인적자본·연구, ③인프라, ④시장 고도화, ⑤기업 고도화 등 투입부문 5개, ①지식·기술 산출, ②창의적 산출 등 산출부문 2개의 총 7개 분야, 총 78개 세부지표를 종합하여 산출되며, 한국은 투입부문에서 4위, 산출부문에서 6위를 기록하였다. 특히, 한국은 인적자본·연구 분야에서는 7년 연속 세계 1위를 차지했다.
한국은 78개 세부지표 중 국내총생산(GDP) 대비 특허출원, 정보통신기술 인프라 중 정부 온라인 서비스, 기업의 연구역량 등 3개 지표에서 세계 1위로 평가됐으며, GDP 대비 국제특허(PCT)와 디자인 출원도 세계 3위의 최상위권으로 평가됐다. 글로벌 순위를 살펴보면 스위스가 1위를 차지했고, 스웨덴, 미국, 한국, 싱가포르, 영국 순이다. 이 밖에 중국이 10위, 일본이 12위를 기록했다.
한국은 총 78개 세부지표 가운데 ▲국내총생산(GDP) 대비 특허출원 ▲정보통신기술 인프라 중 정부 온라인 서비스 ▲기업의 연구역량 등 3개 지표에서 세계 1위로 평가되었으며, ▲GDP 대비 국제특허(PCT)와 디자인 출원도 세계 3위의 최상위권으로 평가됐다.
그러나 전체 133개국 가운데 ▲청년 인구 비율(Youth demographic dividend) 138위 ▲외국인 직접투자(FDI net inflows) 108위 ▲GDP당 에너지 소비량(GDP per unit of energy use) 93위 ▲저탄소 에너지 사용(Low-carbon energy use) 74위 ▲적용 관세율 가중 평균(Applied tariff rate, weighted avg) 92위 ▲ICT 서비스 수입(ICT services mports) 비중 82위 ▲노동 생산성 증가(Labor productivity growth) 65위 등으로 낮게 평가됐다.
우리나라는 지난 2012년에 21위를 시작으로 (’14)16위 → ’(16)11위 →(’18)12위 → (’19)11위 → (’20)10위→ (’21)5위→ (’22)6위 → (’23)10위 → (’24)6위 등을 거쳐 올해는 영국, 싱가포르 등을 제치고 4위로 올라섰다.
2025 Global Innovation Index
순 위 | 국 가 명 | 종 합 점 수 |
1 | 스위스 | 66.0 |
2 | 스웨텐 | 62.6 |
3 | 미 국 | 61.7 |
4 | 대한민국 | 60.0 |
5 | 싱가포르 | 59.9 |
6 | 영 국 | 59.1 |
7 | 핀란드 | 57.7 |
8 | 네델란드 | 57.0 |
9 | 덴마크 | 56.9 |
10 | 중 국 | 56.6 |
이번 발표에서 스위스, 스웨덴, 미국, 한국, 싱가포르가 상위권을 차지했으며, 중국은 10위를 기록하면서 사상 처음으로 10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지식 및 기술 산출에선 스위스를 앞섰고, R&D 지출에서는 2위, 특허 출원에서는 세계 선두를 기록했습니다. 또 중국은 선전-홍콩-광저우 등 세계 최고 수준의 혁신 클러스터를 다수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WIPO는 중국, 인도, 튀르키예 등 주요 중등소득 국가·지역의 순위가 꾸준히 상승했다고 밝혔다. 또 17개 중저소득 국가·지역은 개발 수준에 비해 기대 이상의 혁신 성과를 기록했으며,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는 특히 예상치를 웃도는 사례가 다수 나타났다.
'정보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기준 신청방법 (0) | 2025.09.12 |
---|---|
핸드폰 통화중 문자 카톡등 복수기능 사용하기 (0) | 2025.09.05 |
LH 전세임대주택과 매입임대주택의 차이 (1) | 2025.09.02 |
공공임대주택과 행복주택 차이점 (3) | 2025.08.31 |
65세이상 고령자를 위한 기존주택 전세임대주택 신청 (2) | 2025.08.31 |